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인사이트

부동산 소액투자가 가능하다고? 부동산 조각 투자 플랫폼 카사 이야기 - 카사, 비브릭, 펀블, 루센트 블록

by 빌딩로그인 2025. 3. 14.
반응형

외국에서는 활성화 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대한민국에서는 아직 샌드박스 영역인 부동산 투자 플랫폼

플랫폼별 특징과 현황을 알아보자!

 

1. 카사 - 대표적인 부동산 조각 플랫폼

빌딩과 같은 상업용 부동산을 공모펀드 형식으로 투자 연결하는 국내 최초의 부동산 디지털 수익증권 플랫폼입니다.

 

2020년 말을 시작으로 강남, 여의도, 동대문, 물류창고 등 다양한 종류의 크고 작은 자산들을 공모 매입 후 엑시트(Exit)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모 시작하자마자 완판되고 코로나 시대에 발생한 부동산 폭등 현상으로 인해 성공적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구요. 최고의 장점은 고수익도 있었겠지만, 주식에서의 배당수익처럼 임대수익을 누림과 동시에 시세차익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쉽게 사고 팔수 있도록 하여 상업용 부동산 투자에 대한 진입장벽을 성공적으로 낮추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카사의 특장점

 

우수한 유동성: 일반 부동산의 경우 현금화  하는 과정이 매우 까다롭고 복잡하죠. 손님 알선, 중개수수료, 등기 등 정말 많은데요. 카사는 실시간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습니다.

배당: 부동산 월세 받는 것처럼 꾸준히 월세 임대수익도 누릴 수 있습니다. 약 3-5%정도 수준이라고 합니다.

안정성: 주식은 호재에 따라 등락이 심하지만, 부동산은 안정적이고 어느정도 예측가능한 수준으로 변동됩니다. 또한 부동산의 경우 정보 비대칭성이 주식과 비교하여 작기도 합니다.

 

2. 카사 - 부동산 투자 구조

 

부동산 소액투자가 가능하다고? 부동산 조각 투자 플랫폼 카사 이야기 - 카사, 비브릭, 펀블, 루센트 블록

부동산 투자회사인 신탁회사가 건물주로 부터 신탁을 받게 됩니다.(정확히는 처분신탁) 신탁회사는 증권발행을 하고 플랫폼 카사는 공모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투자를 받게 되고, 그 투자금은 다시 신탁회사를 통해 건물주로 판매대금이 이어지는 구조입니다. 전통적인 부동산 투자인 리츠와 비교할 때 그 과정자체가 빠르고 신속하게 거래가 가능하여 진입장벽도 매우 낮습니다.

 

3. 카사 - 규제 샌드박스에 대한 위기

규제 샌드박스란

 

규제 샌드박스란 신기술을 활용한 제품과 서비스를 시장에 출시하기 전에 일정기간 동안 규제를 면제하거나 유예하는 제도입니다. 이때 유예기간을 넘어 연장에 연장을 거듭하다가 마지막 연정 마지노선이 올해 2025년 중순이었습니다. 

 

다만 올해 2025년 2월 초 부동산 조각 투자 플랫폼에 대한 입법이 예정되며 제도화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만약 제도화 안될 경우 카사 홈페이지에서 게시판을 통해 직거래로 투자를 하는 방안을 내었으나 다행히(?) 제도화 예정에 따라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