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상업용 부동산 전문 컨설팅 빌딩로그인입니다!
“이 부동산, 시세는 얼마예요?”
투자자, 매수자, 혹은 세무 담당자 누구나 궁금해하는 이 질문.
하지만 그 ‘시세’라는 말, 정확히 어떤 기준일까요?
부동산에서는 하나의 자산에 서로 다른 세 가지 가격이 존재합니다.
바로 👉 공시지가, 감정가, 실거래가입니다.
이 세 가지는 이름만 비슷할 뿐, 평가 기준도, 활용 목적도, 적용 결과도 전혀 다릅니다.
심지어 어떤 기준을 보느냐에 따라
💰 낼 세금이 수천만 원 달라지고,
💼 대출 가능 금액도 수억 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시지가 vs 감정가 vs 실거래가의 개념부터 실전 활용법까지
완벽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오늘의 부동산 스터디
1. 공시지가란? 국가가 정한 세금 기준
2. 감정가는? 법과 금융을 위한 시장가치 평가
3. 실거래가란? 시장에서 실현된 실제 거래가
4. 세 가지 가격의 구조적 차이와 사례 분석
5. 투자자·건물주가 기준가를 보는 실전 전략
1. 공시지가란? : 국가가 정한 세금 기준
공시지가는 국토교통부가 매년 1월 1일 기준으로 발표하는 토지의 1㎡당 가격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개별필지에 대한 ‘개별공시지가’가 산정됩니다.
📌 목적과 활용
-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산정 기준
- 개발부담금, 기부채납, 보상평가 등 공공사업 관련 기준
📌 특징
- 표준지 기반으로 일괄 산정 → 실거래 반영 한계 존재
- 시세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우 다수
- 세금에 직접 영향을 주므로 고가 부동산일수록 민감
✅ 사례
- 서울 A씨의 꼬마빌딩: 시세 80억, 공시지가 55억 →
종부세 과세표준은 55억으로 계산됨 - 같은 위치의 3필지 중 1곳만 표준지로 선정되어 공시가 인상 →
옆 필지 건물주의 불만 발생
2. 감정가는? : 법과 금융을 위한 시장가치 평가
감정가는 감정평가사가 시장에서 통용되는 가치를 분석해 평가한 금액입니다.
주로 금융기관, 법원, 국세청 등 공공기관의 공식 기준가로 사용됩니다.
📌 감정가 산정 방식
- 비교사례 접근법: 인근 유사 매물 거래 사례 비교
- 수익환원법: 임대수익을 기반으로 투자가치 평가
- 원가법: 건축비+토지 가치를 더해 평가
📌 대부분 가장 낮은 리스크 평가 기준을 적용
- 시장가보다 보수적으로 나오는 경우 다수
📌 감정가 활용처
- 부동산 담보대출 (LTV 계산 시)
- 상속/증여세 산정 시 기준가
- 경매 낙찰가 기준(감정가 대비 몇 % 낙찰 등)
- 민사소송 중 손해배상액 산정 시 기준
✅ 사례
- 감정가 40억으로 나온 빌딩, 실거래가는 55억
→ 대출은 감정가 기준으로만 60%인 24억만 가능
→ 매수자 입장에선 레버리지 전략 조정 필요
3. 실거래가란? : 시장에서 실현된 실제 거래가
실거래가는 부동산 매매 시 실제 계약서에 명시된 금액으로,
국토부 실거래가 신고 시스템에 등록되어 공개됩니다.
📌 특징
- 가장 현실적인 가격 기준
- 매도인·매수인의 심리와 협상력이 반영됨
- 수요·공급에 따라 급등락이 심함
📌 단점
- 특수관계자 간 거래 시 왜곡 가능
- 다운계약, 업계약 등의 신고 위반 사례 존재
- 신고 지연 및 일부 누락 가능성 있음
✅ 사례
- 동일 아파트 84㎡:
1월에 10억 거래 → 3월엔 급매로 8.7억 거래 → 5월엔 다시 10.3억
→ 실거래가만으로는 시장 흐름 왜곡 가능
4. 세 가지 가격의 구조적 차이와 사례 분석
구분 | 공시지가 | 감정가 | 실거래가 |
📌 산정 주체 | 국토부/지자체 | 감정평가사 | 거래 당사자 + 중개사 신고 |
📌 발표 주기 | 연 1회 | 의뢰 시 즉시 | 계약 후 30일 내 신고 |
📌 시세 반영력 | 낮음 (보수적, 시차 있음) | 중간 (보수적 접근) | 높음 (당시 시장 반영) |
📌 활용 목적 | 세금, 개발부담금 등 | 담보대출, 상속, 분쟁 | 시장가 파악, 매매 기준 |
📌 평균 수준 | 시세 대비 60~80% | 시세 대비 80~90% | 실질 시장가 100% |
5. 투자자·건물주가 기준가를 보는 실전 전략
✅ 보유세, 종부세 절세 전략
- 공시가격이 시세보다 낮은 상태면 세금 부담 낮음 → 보유 유리
- 향후 공시가 급등 예정이면 양도 타이밍 조절 필요
✅ 매입 타이밍과 협상 전략
- 실거래가보다 감정가 낮게 나온 물건 → 매수 시 협상 여지 있음
- 공시지가보다 시세가 과도하게 높은 지역 → 향후 세금 폭탄 가능성
✅ 법인 소유 전략
- 법인 세금 산정 시 감정가가 기준 →
감정가 대비 거래가 과도하게 높으면 증여의제 리스크 발생
✅ 경매 낙찰가 분석
- 감정가 대비 낙찰가가 높으면 → 시장 과열 가능성
- 감정가 대비 지나치게 낮으면 → 입지 위험 또는 건물 하자 가능성 판단
공시지가, 감정가, 실거래가
이 세 가지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부동산 거래와 자산관리, 세금 전략의 핵심 기준입니다.
📌 동일한 건물이라도
- 세금은 공시지가로
- 대출은 감정가로
- 매매는 실거래가로 평가되므로,
‘내가 지금 어떤 관점에서 부동산을 보고 있는가’에 따라
적절한 기준가를 선택해 해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앞으로도 빌딩로그인은
실무와 투자에 바로 적용 가능한
부동산 기준 지식과 인사이트로 찾아뵙겠습니다!
빌딩로그인 문의 : 02-566-0599
빌딩로그인 실시간 공실정보 페이지 : 사무실 임대 // 빌딩매매 // 사무실 인테리어
카페 : https://cafe.naver.com/dealingbuilding
빌딩로그인 사이트맵 : https://blog.naver.com/buildinglogin1/223440281690
안녕하세요! 상업용 부동산 플랫폼 빌딩로그인을 소개합니다.
#부동산플랫폼 #빌딩로그인 #상업용부동산 #사무실임대 #빌딩매매 빌딩로그인은 무슨 회사인가요? 빌딩로그...
blog.naver.com
'부동산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금 vs 중도금 vs 잔금, 언제 어떻게 내야 할까? (1) | 2025.04.24 |
---|---|
임대차 계약 시 '이중계약' 사기 피하는 방법은? (0) | 2025.04.23 |
공시지가 vs 시세,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차이 (0) | 2025.04.21 |
전용면적 vs 공급면적 vs 임대면적, 부동산 용어 제대로 알자! (0) | 2025.04.18 |
도시마다 다른 용적률, 왜 서울은 낮고 지방은 높을까? (0) | 2025.04.17 |